Computer Science/네트워크

1. 이동성 지원 -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방법은 예전에 공부를 했는데 이번에는 고정 network에서 ip가 인터넷 내부에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ip는 네트워크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되어있다.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즉 위치가 정해진다는 것이다. 즉 호스트가 이동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기존 네트워크 주소로는 패킷 전달이 불가능하다. - 그럼 새 ip를 할당하는 건 어떤가? 이것은 이동성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 모바일ip가 목적으로 하는 것은 송신자가 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고 기존 통신 소프트웨어 및 라우터의 변경 없이 이동성을 지원하는 것이다. 2. Cellular network - 모바일 ip의 구현이 언뜻 불가능해 보이지만 이미 비슷한 문제를 해결한 ..
Forwarding Table and Routing Table • 포워딩 테이블과 라우팅 테이블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두 용어를 구분하겠습니다. – 전달 테이블은 패킷이 전달될 때 사용되므로 전달 기능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포함해야 합니다. • 전달 테이블: (1) 네트워크 번호에서 나가는 인터페이스로의 매핑, (2) 일부 MAC 정보(다음 홉의 이더넷 주소). • 라우팅 테이블은 전달 테이블을 구축하기 위한 전조로서 라우팅 알고리즘에 의해 구축되는 테이블입니다. –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번호에서 다음 홉으로의 매핑. Distance Vector 알고리즘 말 그대로 디스턴스(Distance : 거리)와 벡터(Vector : 방향)만을 위주로 만들어진 라우팅 알고리..
서브넷의 등장 배경 흔히 사용되는 IPv4 주소 체계는 클래스를 나누어 IP를 할당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어떤 기관에 A 클래스를 할당한다고 하면 16,777,214개의 호스트를 할당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기관이 100개의 호스트를 할당한다고 하더라도 16,777,114개의 호스트가 낭비되게 된다. 이러한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치들의 수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subnet)이 등장하게 되었다. IP클래스 서브넷(subnet)과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서브넷은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 네트워크를 뜻한다. 이러한 서브넷을 만들 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서브넷 마스크이다. 즉,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 ..
네트워크 설계를 하면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될 개념이 CIDR입니다. 사이더라고 부릅니다. CIDR의 full name은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으로 클래스 없는 도메인간 라우팅 기법이라는 뜻입니다. 클래스가 없다는 뜻은 네트워크 구분을 아래와 같이 Class로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Class는 사이더가 나오기전 사용했던 네트워크 구분 체계 입니다. 사이더가 나오면서 Class 체계보다 더 유연하게 IP주소를 여러 네트워크 영역으로 나눌 수 있게 되었죠 참고 하자면 클래스 구분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도메인간 라우팅이라는 뜻은 아래 그림에 Inter-Domain과 형태를 말합니다. 사이더는 위 Intra-Domain과 같이 각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 짓고 Inter-Do..
IPv6 - 주소의 고갈 때문에 고안한 차세대 IP이다. - NAT, 공유기의 등장으로 ip부족 문제를 조금씩 해결하면서 IPv6으로의 이주가 미뤄지고 있다. - IPv4의 잠재적인 문제와 IPv6가 제시하는 방법들을 알아보자. - 32비트의 주소가 너무 작으니가 128bit주소를 사용한다. - 멀티캐스트를 필수로 사용하도록 한다. - 인터넷의 목적은 누구나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였다. 이를 위해 신뢰성을 희생하였다(Best effort). 인터넷에서 전화등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비하고자 하였다.(QoS 서비스 품질, 실시간 서비스에 대비) - 인증 및 보안 기능을 필수로 넣고자 했다. - DHCP를 서버 없이 ip 자체가 자동구성하도록 한다. - 라우팅은 포워딩에만 집중하도록 하고 다른 기능들을 다 ..
IP - ip는 양 끝 호스트와 네트워크 경계가 되는 지점에 존재해야 한다. - 그 계층 바로 아래 직접연결된 각각의 네트워크 계층으로 구성되어있다. IP Packet Delivery Model - 그럼 이제 인터넷이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을 살펴보자. - 데이터그램 기반 패킷 전달 모델을 사용한다. - 인터넷은 모든 서로다른 네트워크간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최소 서비스 기준을 제시한다. - 모두를 연결하기 위해 최소 기준을 충족시킨다는 목적 때문에 사실상 ip는 신뢰성이 없는 서비스이다. - 패킷 상실 가능성, 패킷 순서 뒤바뀌어 올 가능성, 중복 패킷 수신, 패킷송신 지연등이 일어나기 쉽다. - 이 약점을 TCP가 극복하도록 도와준다. IP(인터넷 프로토콜: RFC 791) • 디자인 컨셉 – 모든 ..
internetwork vs Internetwork – internetwork: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network of networks), 일종의 호스트 간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임의의 네트워크 집합 – Internetwork: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네트워크 - 이전에는 경계가 명확한 어떤 기업에서 관리하는 네트워크에 붙일 수 있는 단말기끼리 통신이 가능했다. - 인터넷의 등장으로 네트워크의 주인과 경계가 사라졌다. - 얼마든지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의 통신이 가능해졌다. - 기존에 여러 네트워크 계층 위에서 표준화를 따르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 즉 여러 네트워크들을 링크로 간주하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면 각..
프록시 ARP • 프록시 ARP는 라우터가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호스트에 대한 네트워크 중 하나의 ARP 요청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이것은 라우터가 목적지라고 생각하도록 ARP 요청의 발신자를 속인다(속이다). • 라우터는 대상에 대한 프록시 에이전트로 작동하여 다른 호스트에서 대상으로 패킷을 전달합니다. 프록시 ARP는 무차별 ARP라고도 합니다. 또는 ARP 해킹 • 이름은 프록시 ARP의 다른 용도에서 유래: 두 물리적 네트워크를 서로 숨기고 두 네트워크 사이에 라우터 사용 — 이것은 서로 다른 두 가지 버전의 TCP/IP를 실행하는 호스트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음..어떻게 해야 할까요? • Gratuitous ARP는 호스트가 자신의 IP 주소를 찾는 ARP 요청을 보낼 때..
윤재에요
'Computer Science/네트워크' 카테고리의 글 목록